color space 3

Color Space 시리즈 - LCH LAB

LCH LCH (Lightness, Chroma, Hue)는 색상 공간의 일종입니다. LCH 공간에서는 밝기(Lightness)는 큐브의 수직축으로 표현되며, 채도(Chroma)와 휘색(Hue)는 큐브의 수평축으로 표현됩니다. LCH 공간은 채도(Chroma)를 직접적으로 나타내기 때문에 RGB, CMYK 등과 같은 색상 공간에서의 채도 값의 정의와 다릅니다. 채도(Chroma) 값은 휘색(Hue)와 밝기(Lightness) 값에 의존하지 않습니다. 따라서, LCH 공간에서 색상의 이질성을 더 잘 나타낼 수 있습니다. 출력 장치에서의 색상 표현을 위해서는 LCH 공간에서 RGB나 CMYK 등의 색상 공간으로 변환이 필요합니다. Lightness (L) Lightness는 색상의 밝기를 나타낸다. 0에 가..

경험정리 2023.07.20

Color Space 시리즈 - HSL HSV

HSL 휘색(Hue) 휘색은 색상의 종류를 나타내는 각도로 표현되며, 휘색은 빨강, 노랑, 초록, 파랑, 남색, 보라 등의 기본적인 색상을 나타냅니다. 0도부터 360도까지의 값을 가질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빨간색은 0도, 노란색은 60도, 초록색은 120도, 파란색은 240도 등으로 표현됩니다. 채도(Saturation) 채도는 색상의 순수도를 나타냅니다. 채도 값은 0%에서 100% 사이의 값을 가집니다. 100%일 때 색상은 최대 순수도를 가지게 되고, 0%일 때 색상은 회색으로 표현됩니다. 밝기(Lightness) 밝기는 색상의 밝기를 나타냅니다. 밝기 값은 0%에서 100% 사이의 값을 가집니다. 0%일 때 색상은 완전한 검은색으로 표현되고, 100%일 때 색상은 완전한 흰색으로 표현됩니다..

경험정리 2023.07.20

Color Space 시리즈 - 먼셀의 색체계

먼셀의 색체계(Munsell color theory) 미국의 화가이자 색채 교육자 앨버트 헨리 먼셀(Albert Henry Munsell)은 색의 세 가지 속성인 색상(Hue), 명도(Value), 채도(Chroma)에 따라서 색상을 배치했다. 1927년 'The Munsell Book of color'을 발간하여 색체계를 확립하였고, 1940년 먼셀의 색체계는 감각적인 척도의 불규칙성으로 인해 미국 광학회(OAS)에 의해 'Munsell renotation'으로 수정되었다. 먼셀의 색체계 특징 지각적인 통보에 따른 감각적 색체계를 구성 빨강, 노랑, 초록, 파랑, 보라로 각각 다른 명도를 부여하여 인간의 시감 밝기에 따라 가장 높은 채도의 색을 각각 다른 명도로 부여함 먼셀의 색체계 세가지 속성 색상(..

경험정리 2023.07.20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