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런트엔드/자기 관리 2

스트레스 관리: 나를 리팩터링 해서 스트레스 관리하기

스트레스 관리는 왜 필요할까? 갑작스러운 일이 발생하거나 정보 과부하가 생길 때 스트레스를 받곤 하지 않는가? 나는 계획형이고 신중한 성격이라 익숙하지 않는 갑작스러운 일이 발생하면 스트레스를 받곤 한다. 그리고 정보 과부하가 생기면 판단력이 흐려지곤 했다. 질병관리청에서 스트레스는 정신질환의 하나로 보고 있다. 사람은 스트레스를 받으면 판단력이 흐려지고 그만큼 본인의 능력치 만큼 발휘를 못한다. 즉, 스트레스 받는 지점을 줄이면 그만큼 업무 효율이 증가한다. 스트레스 줄이기 단순하고 반복적인 작업 줄이기 단순하고 반복적인 작업은 소모적인 작업이라 줄이면 스트레스 개선에 도움을 준다. 나는 코드의 네이밍은 Refactor 기능을 활용했었고, 자주 사용되는 코드는 Live Template 기능을 활용해서 ..

내 커리어를 위한 업무 이력 관리

업무 이력 관리는 왜 중요할까? 내가 다녔던 직장에서는 매년 말에 업무 성과를 작성하고 고과를 평가했다. 다음 연초에 고과가 발표 나고 고과에 따라 연봉 향상률과 다음 진급 기회가 달라졌다. 1년 차 때는 아무것도 몰라 작성할 시기에 생각나는 데로 작성했다. 나는 좀 더 성장하고 싶었고, 진급과 전문성 레벨 업그레이드를 하면 더 많은 역할이 주어지기 때문에 매달 업무를 기록하고 구체적으로 작성하려고 노력했다. 모든 것이 이 영향은 아니겠지만 9년 차 때까지 2번 조기 진급하고, 시니어로 직무 레벨을 업그레이드했다. 이젠 그동안 있었던 경험을 공유해 보고자 한다. 조직장은 나를 얼마나 알고 있을까? 내 업무 성과를 평가하는 조직장은 생각보다 내가 무엇을 잘하고, 어떤 성과를 냈고, 어떤 커리어를 가지고 싶..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