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런트엔드/면접관 가이드 3

면접 이후 합격 판단 포인트

면접 이후에 지원자를 합격 또는 불합격 시킬지 결정하게 된다. 이때는 같이 면접에 참여한 면접관이나 조직장이 납득할 수 있는 이유를 함께 정리해야 한다. 신입/인턴 지원자와 경력 지원자를 두 가지를 나눠서 정리해 봤다. 신입/인턴 지원자 판단 포인트 신입/인턴을 채용할 때는 지원자가 업무 경험이 부족하기 때문에 역량과 인성으로 판단한다. 판단 포인트는 다음과 같다. 개발 역량이 좋은 사람인가? 학습한 것을 봤을 때 빠른 성장성이 기대되는 사람인가? 활동들을 봤을 때 도전적이고 성공 가능성이 높은 사람인가? 프로젝트를 할 때 주도적인 사람인가? 경력 지원자 판단 포인트 경력 지원자를 채용할 때는 지원자가 업무 경험이 있기 때문에 대체로 실제로 동료가 되었다고 가정하고 판단한다. 판단 포인트는 다음과 같다...

기술 면접 프로세스

채용이 빈번하게 발생하는 회사에서는 기술 면접 프로세스가 잘 갖춰져 있고, 채용에 참여하는 인원도 많아 기본적으로 전파교육을 하기도 한다. 반면에 스타트업이나 중소기업같이 규모가 작은 회사에서는 소수 인원으로 채용이 진행되며, 프로세스가 없어 신규 인력에게 전파교육이 진행되지 않은 경우도 있다. 이 포스트에서는 면접관 입장에서 기술 면접 프로세스와 목적 그리고 면접 진행자 입장에서 스크립트를 담았다. 프로세스와 목적 1. 면접 과정 안내 원활한 대화를 위한 아이스브레이킹 과정이다. 대략적인 면접 과정 설명으로 모든 참여자가 같은 맥락을 생각할 수 있게 한다. 2. 지원자 자기소개 대부분은 이력서에 있는 자기소개와 동일하여 자기소개를 듣는 것 자체의 의미는 적다. 자기소개는 자기소개를 기반으로 질문을 자연..

면접 질문 준비하기

좋은 면접은 자유 토론과도 같아야 한다. 소프트웨어 개발과 관련하여 지식과 정보를 교환하고, 기술/도구/방법론들에 대해서도 의견을 나누어야 한다. 우리의 핵심가치는 무엇인가? 우리에게 필요한 주요 기술을 무엇인가? 더 잘하고 싶은, 더 나아지고 싶은 것들은 무엇인가? 새로운 사람을 채용하기 전에 이러한 질문들에 스스로 대답을 준비해야 한다. 소프트웨어 장인 | 산드로 만쿠소 저/권오인 역 | 길벗 | 2015년 09월 25일 질문 준비는 왜 해야 할까? 면접은 같이 일할 동료를 찾는 과정이다. 면접관은 지원자가 우리들에게 필요한 사람인지, 같이 일하기 좋은 사람인지, 동료들과 분위기가 잘 어울리는 사람인지 판단해야 한다. 그런데 막상 면접관이 지원자에게 질문을 몇 가지 못하거나 질문에 집중한 나머지 지원..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