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HSL
휘색(Hue)
휘색은 색상의 종류를 나타내는 각도로 표현되며,
휘색은 빨강, 노랑, 초록, 파랑, 남색, 보라 등의 기본적인 색상을 나타냅니다.
0도부터 360도까지의 값을 가질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빨간색은 0도, 노란색은 60도, 초록색은 120도,
파란색은 240도 등으로 표현됩니다.
채도(Saturation)
채도는 색상의 순수도를 나타냅니다.
채도 값은 0%에서 100% 사이의 값을 가집니다.
100%일 때 색상은 최대 순수도를 가지게 되고,
0%일 때 색상은 회색으로 표현됩니다.
밝기(Lightness)
밝기는 색상의 밝기를 나타냅니다.
밝기 값은 0%에서 100% 사이의 값을 가집니다.
0%일 때 색상은 완전한 검은색으로 표현되고,
100%일 때 색상은 완전한 흰색으로 표현됩니다.
hsl() - CSS: Cascading Style Sheets | MDN
The hsl() functional notation expresses an sRGB color according to its hue, saturation, and lightness components. An optional alpha component represents the color's transparency.
developer.mozilla.org
HSV
휘색(Hue)
색상의 종류를 나타내는 각도 값입니다.
360도의 색상판을 기준으로 하며,
0도부터 360도까지의 값을 가질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빨간색은 0도, 노란색은 60도, 초록색은 120도,
파란색은 240도 등으로 표현됩니다.
채도(Saturation)
색상의 정화도를 나타내는 값입니다.
0%는 회색, 100%는 최대 정화도를 의미합니다.
정화도가 높을수록 색상은 더 진해집니다.
값(Value)
색상의 밝기를 나타내는 값입니다.
0%는 완전한 검정색, 100%는 완전한 흰색을 의미합니다.
Value 값은 특정 색상의 밝기를 조절하거나 흐릿한 색상을 만드는 데 사용됩니다.
HSL vs HSV Color Model
HSL(Hue, Saturation, Lightness)와 HSV(Hue, Saturation, Value)는
컴퓨터 그래픽스와 디지털 영상 처리에서 사용되는 색상 모델입니다.
두 모델의 차이점은 휘색(hue), 채도(saturation),
그리고 세 번째 구성 요소(lightness 또는 value) 사이의 관계를
표현하는 방식에 있습니다.
HSL에서 휘색은 색상판에서의 각도이고,
채도는 중심으로부터의 거리이며,
밝기(lightness)는 색상의 밝기(0 = 검정색, 1 = 흰색)입니다.
HSV에서 휘색은 색상판에서의 각도이고,
채도는 색상의 순수도이며,
값(value)은 색상의 밝기(0 = 검정색, 1 = 최대 밝기)입니다.
결국, HSL과 HSV의 차이점은
색상의 휘색, 채도, 그리고 밝기 간의 관계를 표현하는 방식의 차이입니다.
하지만, 두 것 모두 비슷한 목적으로 사용됩니다.
'경험정리' 카테고리의 다른 글
SVG와 CSS Mask로 육각형 프로필 만들기 (0) | 2023.08.04 |
---|---|
Color Space 시리즈 - LCH LAB (0) | 2023.07.20 |
Color Space 시리즈 - 먼셀의 색체계 (0) | 2023.07.20 |
인증과 인가 구분하기 (0) | 2023.07.20 |
서비스 사용성 리뷰 사례 (0) | 2023.07.2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