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해하기 쉬운 코드 2

8개월간의 레거시 코드에서 리팩토링 경험기!

글의 목적 한번쯤은 다른 누군가에게 전해받은 레거시 코드를 받아 프로젝트를 진행해야 되는 경험이 있었을 것이다. 나는 2018년 10월부터 i.kakao.com으로 서비스 되고 있는 카카오 i 오픈빌더를 이어 받았다. 프로젝트는 초기 빌딩 시 프런트 전문가들이 투입되지 않아 개선점이 많이 필요했다. 현재는 프런트 인력이 추가되어 리팩토링이 진행될 예정인데, 그 과정에 앞서 지금까지 진행했던 내용을 공유할 필요성이 있어 정리한 자료이다. 목차 2018.10~11 오픈빌더 투입 2018.12 코드 리팩토링 시작 2019.01 오픈빌더 기술적부채상환 전략 2019.02 설정 페이지 리팩토링 2019.05 응답형식 구조 리팩토링 2018.10~11 오픈빌더 투입 초기에 오픈빌더는 서버 개발자로 구성된 조직에서 ..

이해하기 쉬운 코드 작성방법 한장에 정리

글의 목적 코드 리뷰를 받다보면 본인이 작성한 네이밍의 의미가 모호하다는 피드백을 받거나 로직이 이해하기 힘들다는 피드백을 받을 때가 있다. 동료들이 본인이 작성한 코드를 이해하지 못했을 때는 코드 작성 방법에 변경할 필요가 생긴 것이다. 이 부분을 개선하기 위해 이해하기 쉬운 코드 작성 방법을 리서치를 했다. 이 포스트는 리서치한 자료들을 정리한 포스트이다. 왜 코드는 이해하기 쉬워야 할까? 우리는 코드를 작성하는 시간보다 코드를 보고만 있는 시간을 대부분 차지한다. 우리에게는 시간은 유한하고 제한시간에 요구사항을 개발하는 게 하나의 목표이다. 그렇기 때문에 서비스를 운영하고 있는 내 자신 또는 동료가 코드를 이해하는 데 소비되는 시간을 최소화해야 한다. 코드를 완전히 이해한다는 것은 무엇을 의미할까?..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