네트워크 필터에서는 리소스 종류에 따라 필터링을 할 수 있습니다.
이 포스트에서는 자주 사용되는 리소스 위주로 정리했습니다.
Doc
HTML 문서에 대한 리소스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SSR를 정상적으로 수행 중인지 확인할 때 용이합니다.
JS
JavaScript에 대한 리소스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Fetch/XHR
JavaScript에서 실행된 비동기 요청 리소스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fetch() 함수, XMLHTTPRequest 객체 실행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CSS
CSS에 대한 리소스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Font
폰트 파일에 대한 리소스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웹 페이지 로드 후 폰트가 바뀌거나 로드 시간이 늦을 때 유용합니다.
Img
이미지 리소스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이미지 사이즈, 캐싱 설정 등 확인할 때 유용합니다.
Media
비디오와 오디오 같은 리소스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WS
웹소켓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웹소켓 통신 데이터를 해당 로그 클릭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마치며
네트워크 디버깅은 아래 포스트에서 볼 수 있습니다.
https://the-next-web-research-lab.tistory.com/154
[개발자도구] 네트워크 디버깅
개발자도구를 통해 페이지에서 발생하는 네트워크 디버깅을 위해서 녹화버튼을 실행한 뒤 새로고침합니다. 모든 네트워크 활동이 네트워크 로그에 기록됩니다. 네트워크 로그 네트워크 로그의
the-next-web-research-lab.tistory.com
728x90
'브라우저 활용'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개발자도구} Console 탭 유틸 함수 (0) | 2024.01.29 |
---|---|
[개발자도구] 네트워크 디버깅 (0) | 2024.01.17 |
[웹 브라우저 활용] 웹 페이지 캡처 방법 (1) | 2024.01.11 |
[Copilot | Microsoft Bing] GPT-4 무료로 사용하기 (1) | 2024.01.10 |
[Copilot | Microsoft Edge] 웹 페이지 요약 툴 (0) | 2024.01.10 |